1600만원 롤렉스가 품절…공기만 남은 한국 매장 미스터리
[명품호황 미스터리①]
해외명품 ‘나홀로 성장’
아시아 ‘명품 판매’ 1위로
주식·아파트 올라 “부자 된 기분”
명품고객 사정은 ‘제각각’
‘롤렉스 매장에선 공기만 판다’.요즘 스위스 명품시계 롤렉스를 매장에서 구입하기 어려워지면서 회자되는 말이다. 오전 11시 백화점 내 매장 문을 열기 전부터 수십 명씩 줄을 서는 건 예삿일이고, 애써 매장에 진입해도 인기 모델은 진열과 동시에 팔려 보이는 시계는 두세 점 뿐. 이 모든 일을 겪은 60대 박 모 씨는 “아들 결혼 예물용이라고 아무리 사정을 해봐도 택도 없었다. 결국 포기하고 니들(자식)이 재주껏 구해보라고 돈으로 줬다”고 혀를 내둘렀다.1일 업계에 따르면 롤렉스에서 가장 인기있는 제품은 ‘데이트저스트’스틸 모델로 소매가 1600만 원 정도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 때 찼던 모델이다. 놀랍게도 같은 모델(흰색 다이얼)의 중고시세는 현재 소매가의 두 배가 넘는 3300만원까지 올라있다. 명품 시계업계 관계자는 “희소성 마케팅을 하려고 일부러 생산을 줄인 거 아니냐고 하는데 그런 거 없다”며 “1500만원이 넘는 인기 모델 A는 세계적으로 물량이 80만개 정도인데 적은 게 아니다. 그냥 사려는 사람이 많은 것”이라고 말했다.코로나19 창궐 1년, 명품 시장은 활황이다. 롯데백화점 인천터미널점의 경우 지난해 보테가베네타·발렌시아가·IWC·생로랑 등 15개 해외 명품 브랜드를 입점시켜 명품 매출이 무려 40% 증가했고, 그 덕에 백화점 전체 매출도 1.8% 증가로 마감했다. 현대백화점 판교점, 갤러리아 명품관,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및 강남점 등도 같은 이유로 매출이 전년 대비 5~9%씩 늘었다. 외출 자제 등의 여파로 지난해 백화점 업계 매출이 9.8% 역 신장한 것과 뚜렷이 대비된다.그런데 세계 명품 시장은 코로나로 꽤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글로벌 컨설팅기업 베인앤컴퍼니에 따르면 지난해 패션·잡화·보석 등 개인 명품 세계 시장 규모는 2170억 유로(약 294조원)로 전년(2810억 유로) 대비 23% 곤두박질쳤다. 조사를 시작한 1996년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코로나 충격파는 명품 시장의 판도도 바꿨다. 유럽과 미주를 제치고 처음으로 아시아가 선두에 오른 것이다.지난해 명품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중국(본토)이 20%,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가 13%로 전체의 3분의1에 달했다. 반면 2019년 31%를 차지했던 유럽은 26%로, 미주지역도 30%에서 28%로 입지가 줄었다.베인앤컴퍼니는 “일본은 소비가 줄었고 홍콩과 마카오는 가장 안 좋다. 반면 한국 소비자들은 명품 소비에 강한 욕구(strong appetite)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중국과 한국이 ‘아시아 명품굴기’를 이끈 셈이다.명품 브랜드 기업의 중역인 B씨는 “지난해 한국에서 에르메스·샤넬 등 최상위권 브랜드들은 전년대비 30~40%, 그 아래 브랜드는 10~20% 정도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된다”며 “최상위권 브랜드의 경우 대기수요까지 포함하면 70~80%이상 늘어 명품 내에서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확연하다”고 말했다.국민 살림살이는 좋지 않아 보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7~9월) 동안 소비는 1년 전보다 3.3% 감소하고 대출은 52조6454억원으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그런데도 값비싼 명품 소비가 늘어난 배경은 뭘까.경우선 맥킨지앤컴퍼니 부파트너는 “재미있는 사실은 주식 시장의 상승이 명품 소비 증가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직장인 이모(48)씨의 얘기가 이를 뒷받침한다.“코로나 직후 코스피가 폭락했을 때 지금 들어가면 무조건 승률 100%라고 해서 산 종목들이 두 배가 올라 1억원 넘게 벌었어요. 평생 이렇게 수익을 내보긴 처음이라, 집사람에게 명품백 선물하고 술도 많이 샀어요.”실제 코스피 지수는 지난해 3월19일 1457.64포인트까지 폭락했다가 5월 2000포인트 고지를 되찾고 12월30일 2873.47포인트로 막을 내려 1년 동안 무려 32.1% 상승했다.부동산 시장도 못지않다. 지난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로 6억원 대의 아파트를 장만한 직장인 허모(39)씨는 “태어나서 가장 잘한 일”이라고 자축했다. 아파트는 1년 만에 매매가가 8억원으로 올랐다. 허 씨는 “월급을 쪼개 1억을 모으는데 5년 넘게 걸렸는데, 몇 달 만에 2억을 벌고 나니 소비에 자신감이 붙었다”며 “처음으로 명품지갑·벨트·서류가방 등을 샀다”고 했다. 서울 마포구 아현동 아파트 호가가 18억~19억까지 오른 주부 신모(34)씨도 “부자가 된 기분이다. 단지 내 어린이집에 가면 젊은 엄마들이 에르메스·샤넬백 하나씩은 들고 온다”고 했다.소득은 그대로지만 명품에 돈을 쓸 ‘상황’이 만들어진 사람들도 적지 않다.40대 직장인 박지은 씨의 경우 매년 두 번, 여름·겨울휴가에 총 1000만원 정도를 썼지만 지난해엔 국내 여행 한번 제대로 못 갔다. 박 씨는 “예전엔 같은 돈을 두고 여행이냐, 명품이냐 선택해야 했는데 이제 여행이 안 되니 명품을 살 수 있게 된 것”이라고 했다. 명품 보석 업계 관계자는 “부유층이 늘었다기보다 다른 활동 대신 명품에 돈을 쓴 사람이 많기 때문에 기업도 당장 섣불리 물량을 늘릴 수는 없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명품을 단순한 ‘소비’가 아닌 ‘투자’ 대상으로 보는 인식은 경제침체 속 명품 소비 증가를 설명하는 또 하나의 열쇠다. 처음부터 나중에 재판매(re-sell)할 것을 고려하고 기왕이면 제 값을 얻을 수 있는 ‘똘똘한 한 가지’를 사는 것이다.김세완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금의 명품 호황은 소득이 오르지 않아도 자산가치가 오르면 소비가 늘어나는 ‘부(富)의 효과’에, 화폐가치 하락을 대비하려는 ‘현물 투자 심리’가 결합된 현상”이라고 해석했다. 미국에서도 1995~2005년까지 주식과 부동산 가격이 치솟자 소비가 소득을 앞지르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는 “자산시장 호황은 지속될 수 없는 만큼, 부채가 많다면 자산가치를 소득으로 오해하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이소아·유지연·배정원 기자 lsa@joongang.co.kr
트럼프의 롤렉스는 되고 바이든의 롤렉스는 안 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취임하면서 그의 일거수일투족이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난데없는 그의 손목시계가 화제의 중심에 올랐습니다.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이 그가 취임식 날 7,000달러(약 770만원) 상당의 스위스 고가 브랜드 롤렉스의 ‘데이트저스트’ 모델을 착용한 사실을 조명하면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뜨거웠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의 롤렉스 시계를 별도의 기사로 다룬 NYT를 향해서는 “언론이 쓸모없는 스캔들로 되돌아가고 있다”는 비판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대중은 시계로 정치인을 판단한다?
25일(현지시간) AFP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산 제품 우선 구매를 주장하면서 정작 본인은 스위스제 롤렉스를 착용했다"고 보도했는데요. 이날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제조업 강화를 위해 미국 기업 제품 구매를 늘리는 ‘바이 아메리칸’ 행정 명령에 서명한 것과 그의 손목시계를 연관 지은 것입니다.
통신은 “역대 미 대통령들은 취임식 때 저가의 자국산 손목시계를 차는 경우가 많았다"며 “미국인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식 날 롤렉스 시계를 선택한 것을 그냥 지나치지 않았다"고 덧붙였어요.
앞서 22일 NYT는 바이든 대통령의 롤렉스 시계를 “최근 역대 대통령들이 선택한 전형적인 모델과는 다르다"고 묘사했습니다.
그러면서 전 대통령들의 사례들을 자세히 소개했는데요.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미국 브랜드 타이멕스의 디지털 손목시계 아이언맨을 착용했고,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50달러(약 5만원)가 채 안 되는 타이멕스 인디글로 모델을 애용했다고 합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조그 그레이 시계를 차고 다녔는데 당시 가격은 50만원대였다는데요.
“패션의 작은 부분까지 낱낱이 해부되는 시대에 (대중은) 정치인들은 평범한 미국인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믿는 게 보편적"이라는 게 NYT의 판단입니다.
바이든 말고도 비싼 시계 찬 전직 대통령 많은데
바이든 대통령은 엘리트 정치인이면서도 소탈한 인간미를 갖춰 ‘조 아저씨’, ‘보통사람 조’ 등의 별명을 지녔습니다.
이에 따라 미 언론은 “바이든 대통령이 롤렉스 브랜드 제품 중 대중적 모델에 속하는 제품을 착용했다"면서도 “언론을 통해 전해진 바이든 대통령의 검소한 이미지나 미국 제조업 부흥을 강조하고 있는 것과 거리가 있는 제품"이라는 평가를 내렸죠.
한국에서도 서민 이미지가 강한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취임 초 덴마크 브랜드 린드버그의 모르텐 안경테를 착용한 것을 두고 고가 논란이 일기도 했어요. 문 대통령은 당시 6년 넘게 사용한 이 안경테를 새 제품으로 바꾸면서 국산 제품을 선택했습니다.
이에 미국 진보층을 중심으로 바이든 대통령의 손목시계 관련 보도를 한 언론에 대한 반감도 커지는 분위기입니다. 패션매체 에스콰이어는 “고가 손목시계를 찬 대통령은 바이든뿐만이 아니다"며 “드와이트 아이젠하워나 린든 존슨 등은 롤렉스 시계를 즐겨 착용했다"고 전했는데요.
특히 일부 트위터 이용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즐겨 착용한 파테크 필리프, 바쉐론 콘스탄틴 등 고가 브랜드 제품의 사진과 가격을 게시하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찼던 롤렉스의 데이데이트 모델 가격은 4,000만원 이상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외신들은 일부 누리꾼들이 바이든 대통령의 손목시계 가격을 트집 잡은 것을 ‘미국의 깊은 분열이 쉽게 치유되지 않을 것이라는 징후 중 하나’로까지 해석하기도 했습니다.
반면 일부에서는 미 언론이 트럼프 전 대통령 때리기에 집중하던 데서 벗어나 대통령의 패션 아이템 중 하나인 손목시계를 논란 대상으로 삼은 것을 ‘미국 사회의 정상화’로 해석하기도 했는데요. 미 CNN방송의 정치평론가 애나 나바로는 “우리는 바보 같고 쓸모없는 시계와 관련된 뒷말을 다루던 ‘좋았던 그 옛날’로 돌아왔다"고 꼬집었습니다.
김소연 기자 jollylife@hankookilbo.com
0 0 공유 카카오
페이스북
트위터
이메일
URL 기사저장
한국일보가 직접 편집한 뉴스 네이버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바이 아메리카” 외친 바이든…손목엔 스위스 명품 ‘롤렉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취임식 때 찼던 것과 같은 종류의 ‘롤렉스 데이트저스트’ 손목시계 (롤렉스) © 뉴스1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취임식 당시 스위스 명품시계 브랜드 ‘롤렉스’의 손목시계를 찼던 것으로 드러나 이런저런 뒷말을 낳고 있다.25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역대 미 대통령들은 취임식 때 저가의 자국산 손목시계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다.그러나 바이든 대통령이 찼던 시계는 판매가 7000달러(약 770만원) 상당의 ‘롤렉스 데이트저스트’ 모델인 것으로 확인됐다.이 시계는 롤렉스 시계 중에선 그나마 대중적인 제품이지만 그간 언론을 통해 전해졌던 바이든 대통령의 검소한 이미지나 그가 ‘메이드 인 아메리카’, 즉 미국의 제조업 부흥을 강조하고 있는 것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는 게 현지 언론들의 평가다.뉴욕타임스(NYT)는 24일자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롤렉스 시계를 착용하면서 “역대 대통령들의 전통에서 벗어났다”고 지적하기도 했다.역대 미 대통령들 중에서도 드와이트 아이젠하워나 린든 존슨, 로널드 레이건은 롤렉스 시계를 애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이후엔 명품시계를 찬 대통령을 보기가 어려웠다.오히려 클린턴 전 대통령은 ‘타이멕스’의 디지털 손목시계 ‘아이언맨’을 차는 바람에 일부 현지 언론들부터 혹평(?)을 듣기까지 했다.클린턴 전 대통령의 후임이었던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도 개당 50달러(약 5만원)가 채 안 되는 타이멕스 시계를 애용했다.또 바이든 대통령이 과거 부통령으로서 호흡을 맞췄던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2009~17년 재임기간 ‘샤이놀라’·‘조그 그레이’ 등 자국 제조사들이 만든 시계를 사용했다.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파텍 필립’의 ‘골든 이클립스’ 모델을 비롯해 롤렉스·바쉐론 콘스탄틴의 명품시계를 즐겨 찼다.(서울=뉴스1)